♡敎育은 天才보다 德이 답입니다♡
요즘 젊은 어머니들은 너 나 할 것 없이 자식을 모두 무조건 天才로 키우려고 하시는것 같습니다.
하루에도 두세곳의 학원을 보내시는 것을 봅니다.
하지만 자라서 세상에 나가 훌륭한 사람이 되고 필요한 사람으로 대접받게 되는 것은 천재가 아니라 德이 있는 사람입니다.
오늘날 많은 사람들에게 존경을 받고 지도자의 위치에서 단체나 조직, 사회를 이끄는 사람은 천재가 아니라 德이있는 사람입니다.
사람들은 天才를 부러워하지만 天才는 오래가지 못합니다. 하지만 德은 영원합니다.
그러므로 머리 좋은 사람으로 키우기 전에 德을 좋아하고 德을 즐겨 익히고 베풀 줄 아는 사람으로 아이를 키워야 할 것입니다.
孔子는 천재불용(天才不用)이라하여 덕(德)없이 머리만 좋은 사람은 아무짝에도 소용이 없다고 했습니다.
이는 孔子와 황택(皇澤)이라는 아이의 이야기에서 유래되어 잘 알려진 이야기입니다.
어느 날 孔子가 수레를 타고 길을 가는데 어떤 아이가 흙으로 城을 쌓고 놀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수레가 가까이 가도 아이는 비켜줄 생각을 하지 않았습니다.
"얘야. 수레가 지나갈 수 있도록 길을 비켜주겠느냐?"
그런데도 아이는 쭈그리고 앉아 하던 놀이를 계속했습니다. 그러고는 이렇게 말했습니다.
"수레가 지나가도록 성(城)이 비켜야 합니까? 아니면 수레가 성(城)을 비켜 지나가야 합니까?"
아이의 말에 孔子는 똑똑한 녀석이라고 생각하며 수레를 돌려 지나가려 했습니다.
그러다가 아이에게 이름과 나이를 물어보았습니다. 그러자 아이는 자기의 이름은 황택(皇澤)이며 나이는 8살이라 했습니다.
이에 孔子는 "한 가지 물어보아도 되겠느냐?"
그러고는 " 바둑을 좋아하느냐?" 라고 물어보았습니다.
ㅡ그러자 皇澤은 이렇게 말했습니다.
"君主가 바둑을 좋아하면 臣下가 한가롭고,
선비가 바둑을 좋아하면 學問을 닦지 않고, 농사꾼이 바둑을 좋아하면 농사일을 못하니 먹을 것이 풍요롭지 못하게 되거늘 어찌 그런 바둑을 좋아하겠습니까?"
아이의 대답에 놀란 孔子는 한 가지 더 물어도 되겠냐 고 하고는 "子息을 못 낳는 아비는 누구냐?" 라고 물었습니다.
그러자 아이는 허수아비라고 대답했습니다.
"그러면 연기가 나지 않는 불은 무엇이냐?"
"반딧불이입니다."
"그러면 고기가 없는 물은 무엇이냐?"
"눈물입니다."
아이의 거침없는 대답에 놀란 공자(孔子)는 입을 다물지 못했습니다.
그 순간 아이가 벌떡 일어서며 "제가 한 말씀 여쭤도 되겠습니까?" 하고 말했습니다.
孔子가 그렇게 하라고 이르자 아이는 이렇게 물었습니다.
"아주 추운 겨울에 모든 나무의 잎들이 말라 버렸는데 어찌 소나무만 잎이 푸릅니까?"
孔子는 잠시 생각하다가 "속이 꽉 차서 그럴 것이다." 하고 대답했습니다.
그러자 아이가 다시 물었습니다.
"그렇다면 속이 텅 빈 저 대나무는 어찌하여 겨울에도 푸릅니까?"
그러자 孔子는 "그런 사소한 것 말고 큰 것을 물어보아라" 하고 말했습니다.
그러자, 아이가 다시 물었습니다.
"하늘에 별이 모두 몇 개입니까?"
"그건 너무 크구나."
"그럼 땅 위의 사람은 모두 몇 명입니까?"
"그것도 너무 크구나."
"그럼 눈(目) 위의 눈썹은 모두 몇 개입니까?"
아이의 질문에 孔子는 아무런 대답을 하지 못했습니다.
孔子는 아이가 참 똑똑하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리하여 아이를 가르쳐 弟子로 삼고 싶다는 생각을 잠시했습니다.
하지만 孔子는 아이가 머리는 좋으나 德이 부족해 궁극에 이르지는 못 할 것이라는 사실을 내다봤습니다.
그리하여 다시 수레에 올라 가던 길을 계속갔습니다.
실제로 그후에 황택(皇澤)이라는 이름은 그 이후어디에서도 보이지 않았습니다.
그의 천재성은 8살에서 끝이 나고 말았던 것입니다.
사람들은 머리로 세상을 산다고 생각하지만 사실은 머리가 세상에 미치는 영향보다 가슴이 세상에 미치는 영향이 휠씬 큽니다.
그러므로 머리에 앞서 德을 쌓고 德으로 세상을 살 수 있도록 가르쳐야 할 것입니다.
* 오늘날 우리가 사는 세상이 온갖 거짓과 모순으로 넘쳐나는 것은 지식이 모자라서가 아니라 덕이 부족하고 모자라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우리가 아이들에게 가르쳐야 할 것은 天才敎育이 아니라 "재주가 德을 이겨서는 안된다." 라는 소박한 진리일 것입니다.
🍃🍃
🌹 - * 🌹
*\▕ ◆🌸기쁨
· °╲▍╱°//● 웃음
°·╲▍●°🍁행복
▋
▋ 👒오늘도
▋ 👸건강하시고
▋ 👚흐뭇한 미소로
▋ 🌿행복한 날 되세요🍒
늘 감사합니다.
'좋 은 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사랑은 미안해하는 것이다 ♡ (0) | 2025.03.28 |
---|---|
[철 不知] (0) | 2025.03.28 |
🌸 정직이 가져다 준 선물 🌸 (0) | 2025.03.27 |
주는 것" 중에 가장 소중한 것은, "알아주는 것" 입니다. (0) | 2025.03.27 |
방랑시인 김삿갓 1-25 회 (0) | 2025.03.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