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할수없네. 그냥 살 수밖에"
네 명의 죽마고우가 있었다.
현역에서 기관장 은행가 사업가 등으로 눈부시게 활동하다가
은퇴후에 고향에서 다시 뭉쳐 노년기의 우정을 나누었다.
날마다 만나 맛집 찾아 식도락도 즐기고
여행도 하니 노년의 적적함 따위는 없었다.
어느날 한 친구가 말하기를
-우리가 지금은 괜챦지만 더 늙어 치매가 온다든지
몹쓸병에 걸려 가족을 힘들게 한다면 그것도 못할 일 아닌가
그래서 나는 비상약을 구할 생각이라네.
-무슨 비상약?
-응 내가 곰곰 생각해보니 잠자듯이 죽을 약이 없을까 생각 했다네.
수면제 같은 것은 처방전이 필요 할거고
다른 방법은 번거롭고 주변이나 가족들에게 민폐이니
옛날의 고전적인 방법을 찾아 냈다네.
-그게 뭔데?
-내가 들으니 복어알 말린 것이 최고라네.
그 걸 먹으면 졸듯이 자울자울 하다가 고통 없이 간다 쟎아.
이리하여 네 친구는 비상약 한봉지씩을
가족 아무도 몰래 소장하였다.
참을수 없는 비참한 노년을 위해.
80을 지나 옛날보다 만나는 회수는 줄었지만
여전히 생의 고비마다 서로의 버팀목이 되어줬다.
그사이 한 사람은 황혼 이혼을 했고,
한 친구는 젊어 이혼한 전부인과 다시 황혼 재혼을.
한 사람은 부인이 암으로 상배를 했다.
혼자서 살고 있는 아버지가 안됬다고
아들내외가 지극정성으로 합가 하자 해서
전 재산을 사업자금으로 물려주고 합가를 했다.
이 소식을 들은 딸들은 모두 등을 돌리고,
그 착했던 며느리는 노인 냄새 난다고 눈치를 주며
얼굴도 마주치려 하지 않았다.
젊은 날의 카리스마, 그 위엄은
종이 호랑이처럼 구겨진채 방구석에 버려져 있었다.
마누라 제사 날.
예수 믿는다고 제사도 안 지내고 딸들도 오지 않으니
쓸쓸한 마음으로 친구들과 만나 밥을 먹고 난 뒤
내색 않고 추모관으로 아내를 찾아갔다.
-내가 갈께 여보 기다려.
그 날밤 절친들에게 짤막한 우정에 감사하는 글을 남기고
딸들에게 절절한 사과 글을 남겼다.
아들 며느리에게는 아무 말도 남기지 않았다.
간직해온 그 "비상약"을 꺼냈다.
그것은 마치 비상약이 아닌 삶의 질곡으로부터
탈출할 열쇠처럼 느껴졌다.
투명한 생수 한컵에 갈색 약을 털어 넣었다.
그리고 모처럼 편한 잠자리에 들었다.
자울자울 하다가 이제 저세상으로 가겠지
이 세상 아무런 미련도 없도다.
다음날 아침. 세 친구들에게 온 메시지.
- 그 비상약 모두 버려 아무런 약효도 없어.-
복어 독도 오래되면 독이 모두 사라져버린 모양이었다.
친구들이 그렇게 힘들었으면 말을 하지 그랬느냐고
앞으로 어쩔거냐 묻는 말에 힘없이 대답했다
"그냥, 할 수없이 그냥 살아야지."
근디 자네들 만나니 왜 이리 반갑고 좋으냐?
<받은 글>
'좋 은 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물 숨 (0) | 2025.02.06 |
---|---|
🛑 바보들이 만드는 세상 🛑 (0) | 2025.02.06 |
🍒自 利 利 他🍒 (0) | 2025.02.06 |
시냇물 같은 친구 (0) | 2025.02.06 |
인생을 제대로 사는 사람은 인생의 맛을 안다고 합니다. (0) | 2025.02.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