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04월16일 수요일
📮"아침편지
📚"영과후진(盈科後進)"
물은 구덩이를 만나면
그 구덩이를 채운 후에야 흘러간다.
인간사를 ‘물(水)’에 비유하는 경우가 많다.
물은 자신을 낮추고 아래로 흐르며
새로운 모습으로 변화하는 데
주저하지 않는다는 것이
<道德經>을 통해 알 수 있는 노자의 물에 대한 철학이다.
또한 물은 밤낮을 쉬지 않고 흐른다는 것은
<論語>에 나오는 공자의 물에 대한 철학이다.
자연에 존재하는 물은
인간과 너무도 밀접한 연관관계를 갖고 있기에
다양한 철학자들의
물에 대한 비유가 있었던 것이라 생각된다.
<孟子>에도 물에 대한 철학이 나온다.
맹자의 제자였던 서자가
물에 대한 철학을 물었을 때
맹자는 물이 가진 의미를 자세하게 설명했다.
🫧“원천혼혼(原泉混混) "
샘이 깊은 물은 끝없이 용솟음친다.
🫧"불사주야(不舍晝夜)"
그러기에 밤낮을 쉬지 않고 흐를 수 있는 것이다.
🫧"영과후진(盈科後進)"
흐르다 웅덩이에 갇히면 그 웅덩이를 가득 채우고 다시 흐른다.
🫧"방호사해(放乎四海)"
그리하여 사해까지 멀리 흘러 갈 수 있는 것이다.”
참으로 의미심장한 물에 대한 철학이 아닐 수 없다.
근원이 깊은 물이
바다까지 이를 수 있다는 뜻이다.
그만큼 근본이 중요하다는 것이다.
그러나 그 물은 바다로 흘러갈 때 무리하지 않는다.
가다가 웅덩이를 만나면
그 웅덩이를 다 채우고 흘러간다.
급하다고 웅덩이를 다 채우지 않고 흘러간다면
결국 가뭄에 그 물은 말라버리고 말 것이다.
비록 물에 대한 비유지만
인생을 살아가는 지혜이기도 한다.
인생을 살다가 어려움을 만나거나
힘든 상황을 맞이하면 함부로 나아가지 않고
차분하게 그 상황을 기다리고 겪어냄으로써
힘을 쌓은 다음 비로소 새로운 길로 나아가라는 철학이다.
🫧"영과후진(盈科後進)"
물은 흐르다 웅덩이를 만나면 반드시 채우고 다시 흐른다.
어려운 상황을 만났을 때
한 번 쯤 되새겨볼 만한 물에 대한 철학이다.
“인생을 살다가 어려움을 만나면
잠시 쉬었다 가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다.”
- 옮겨 온 글 -
🌺🍃
늘
*´¨)
¸. 건´¸.·*´¨) ¸.·*¨)
(¸.·´ (¸.·'강° ☆하Γ☆*:..세.:요*☆💞
🍃🌸⃠࿐🍃🌸⃠࿐ 🍃🌸⃠࿐🍃🌸⃠࿐
💯"어느 작가의 노년관" https://m.cafe.daum.net/ProudSilver/SEtr/670?searchView=Y
🪷"나이들면서 지켜야할것" https://m.cafe.daum.net/dreamt/Dzkw/21093?searchView=Y
🍎" 의미(意味) 있는 이야기 " https://m.cafe.daum.net/54cheongun/GlUa/5250?searchView=Y
🎯"독이 든 포퓰리즘" [윤정호의 앵커칼럼] https://youtube.com/watch?v=dRNpiJQ5YbA&si=4Ug0c2IyMHUQNwX9
✨️"척추 명의의 충격적인 고발" https://m.cafe.daum.net/dlaehddns.com/b5cr/1264
🌊5분 시사고전 - "상선약수(上善若水)" https://youtube.com/watch?v=-yqALkpLgV8&si=RzBg0-vBXre93Le5
🍃 ꦿ꙰ 🌸🍃ꦿ꙰☘ 행
◥██◤🌸 🍃복
◢██◣🌸🍃주
████🌸☘ 머
◥██◤🌸╯ 니
늘 🎋행복 ♥️˚ ྀꦿ☆하세요🍀
╬╬═🌸🍃╬╬🌸🍃╬╬═🌸🍃╬╬🌸🍃
🫧"물이 갖는 일곱 가지 덕"
🫧첫 째 : 낮은 곳으로 흐르는 "겸손"
🫧둘 째 : 막히면 돌아가는 "지혜"
🫧셋 째 : 구정물까지 받아주는 "포용력"
🫧넷 째 : 어떤 그릇에도 담기는 "융통성"
🫧다섯째 : 바위도 뚫는 "인내와 끈기"
🫧여섯째 : 장엄한 폭포처럼 투신하는 "용기"
🫧일곱째 : 유유히 흘러 바다를 이루는 "대의"
< 우리 모두 흐르는 물처럼
"상선약수"(上善若水)의 초연한 삶을 살아 가시길 >
'좋 은 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행복 재료♣ (0) | 2025.04.16 |
---|---|
♧천적(天敵)♧ (0) | 2025.04.16 |
♡정직이 가져다준 선물♡ (0) | 2025.04.16 |
분 명 상 ^ (五 分 冥 想) (0) | 2025.04.16 |
개판 오분전(開飯五分前) (0) | 2025.04.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