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 은 글

□ 만해 [卍海] 한용운(韓龍雲)의 시(詩) 감상[鑑賞]

이종육[소 운(素 雲)] 2024. 1. 23. 16:19

🍂🍂🪹🍃🌲🎄
□ 만해 [卍海] 한용운(韓龍雲)의 시(詩) 감상[鑑賞]

호(號)가 만해(萬海)이신 시인(詩人) 한용운(韓龍雲)은 본명(本名)이 한정옥(韓貞玉)입니다. 본래(本來)는 독립운동가였습니다.

1879년 충남 홍성에서 아버지 한응준 어머니 온양 방(方)씨 사이에 차남으로 태어나 1944년 65세에 사망했습니다.

그가 남긴 유명한 시(詩)와 재미있는 글이 많은데 그중 맘에 와 닿는 시(詩) 한 수(首)를 소개해 드리고져 합니다.

■제목: 언젠가는...

언젠가... 말 못할 때가 옵니다. 따스한 말 많이 하세요.

언젠가... 듣지 못할 때가 옵니다. 값진 사연(事緣), 값진 지식(智識) 많이 보시고 많이 들으세요

언젠가... 웃지 못할 때가 옵니다. 웃고 또 웃고 활짝 많이 웃으세요.

언젠가... 움직이지 못할 때가 옵니다. 가고픈 곳 어디든지 가세요.

언젠가... 사람이 그리울 때가 옵니다. 좋은 사람 많이 사귀고 만나세요.

언젠가... 감격(感激)하지 못할 때가 옵니다.

마음을 숨기지 말고 마음껏 표현(表現)하고 사세요.

언젠가... 우리는 세상의 끝자락에 서게 될 것입니다. 사는 동안 최선(最善)을 다해 후회(後悔)없는 삶을 살다 가시면 참으로 좋겠습니다.

그저 물처럼 지혜롭고, 쉬지않고, 냉정(冷情)하게 흐르는 인생으로 늘 웃음 가득한 나날들 되세요

빈손으로 왔다가 빈손으로 가는 인생, 인생은 사람에 따라 차이(差異)가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그러나 분명(分明)한 것은 오직 하나뿐인 일회적(一回的) 인생(人生)을 살다가 간다는 사실(事實)입니다.

옛 현인(賢人)들은 우리들의 인생(人生)을 첫째: 참되고 진실(眞實)되게 살고, 둘째: 아름다운 삶을 영위(營爲)하며, 셋째: 보람스러운 삶을 추구(追求)하며 살라는 답(答)을 주신것 같습니다.

인생(人生)의 시작(始作)과 끝! 결국(結局) 내가 가져 온 것도 내가 가져 갈 것도 없는 것입니다

다만 주어진 삶속에서 성실(誠實)하고 착하게 살아가면서 적당(適當)한 즐거움과 행복(幸福)을 스스로 만들어 가는 것이 자신(自身)의 참다운 인생(人生)을 사는것이 아닌가 생각(生覺)해 봅니다.

어김없이 겨울이 또 다가 왔습니다. 세월(歲月)이 가면 모든것은 놔두고 빈손으로 왔었던 그 자연(自然)으로 다시 돌아가는 인생(人生)입니다. 그것이 바로 공수래공수거(空手來空手去) 인생(人生)입니다.

따라서 지금 이 시간(時間)이 가장 중요(重要)한 시간(時間)임을 잊지 마시고 오늘도 더 멋지고 더 아름답고 더 행복(幸福)한 인생(人生) 여정(旅程)을 만들어가는 멋진 하루 되시기를 소망(所望)합니다.

(☆☆좋은 글 2☆☆)

아래 두편의 글은 마음을 울리는 아름다운 글이라 또 보냅니다.

       " 어느 여인의 誓願 "

친정에 가면
어머니는 꼭 밥을 먹여 보내려 하셨다.
어머니는 내가 친정에 가면
부엌에도 못 들어오게 하셨고
오남매의 맏이라 그러셨는지
남동생이나 당신 보다
항상 내 밥을 먼저 퍼주셨다.

어느 날 오랜만에 친정에서
밥을 먹으려는데 여느 때처럼
제일 먼저 푼 밥을 내 앞에 놓자
어머니가 "얘 그거 내 밥이다"
하시는 것이었다.

민망한 마음에
"엄마 웬일이유?
늘 내 밥을 먼저 퍼주시더니..."
하며 얼굴을 붉혔다.
"그게 아니고, 누가 그러더라
밥 푸는 순서대로 죽는다고
아무래도 내가먼저 죽어야 안 되겠나."
그 뒤로 어머니는 늘 당신 밥부터 푸셨다.
그리고 그 이듬해 어머니는 돌아가셨다.

어머니가 돌아가신 후
그 얘기를 생각하며 많은 눈물을 흘렸다.
그리고 남편과 나, 중에 누구의 밥을 먼저 풀 것인가를 많이 생각 했다.
그러다 남편밥을 먼저 푸기로 했다.

홀아비 삼년에 이가 서 말이고
과부 삼년에는 깨가 서 말이라는
옛말도 있듯이 뒷바라지 해주는
아내 없는 남편은
한없이 처량할 것 같아서이다.

더구나 달랑 딸 하나 있는데
딸아이가 친정아버지를 모시려면
무척 힘들 것이다.
만에 하나 남편이 아프면 어찌하겠는가?
더더욱 내가 옆에 있어야 할 것 같다.

남편을 먼저 보내고
고통스럽더라도 내가 더 오래 살아서
남편을 끝가지 보살펴주고
뒤따라가는 게 좋겠다는 결론을 내렸다.

그때부터 줄곧 남편 밥을 먼저 푸고있다. 남편은 물론 모른다.
혹, 알게 되면 남편은 내 밥부터 푸라고 할까?
남편도 내 생각과 같을까?
원하건대 우리 두 사람, 늙도록 의좋게 살다가 남편을 먼저 보내고
나중에 내가 죽었으면 좋겠다.
정말 그랬으면 좋겠다.

*  진솔한 부부사랑 이야기 이기도 하지만 어머니의 자식사랑, 자식의 부모사랑이 겹겹이 표현되고 있어 감미롭고 가슴이 벅차오르는 글이었습니다.

요즈음 사랑은 표현해야 하는 시대로 알고있습니다만 이 글처럼 푹 익힌 "누룽지"같은 사랑의 포근하고 넘치는 맛을 너무 잊어버리고 표면적 표현으로만
변해가는 것은 아닌지? 생각해보는 아침입니다.

ㅡ옮긴 글ㅡ

눈으로 그린 사랑-

봄이
그려지는가 싶더 니
여름이 지나가고
산마다
단풍잎 물들이는 가을이
왔나 싶더니

겨울이 머물러 있는 이 마을엔
   달과 별들도 부러워한다는
                 금실 좋은
    노부부가 살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밭에 일하러 나간다는
할아버지의 등 뒤엔 지게가 아닌
할머니가 업혀져 있었는데요

“임자...
밖에 나오니 춥지 않아~~?“

“영감 등이 따뜻하니까 춥지 않네요”

앞을 못 보는
할머니를 업고 다닌다는 할아버지는

“임자..
여기서 앉아 쉬고 있어
밭에 씨 좀 뿌려놓고 올테니...“

씨앗 한 움큼을 던져 놓고
할머니 한번 쳐다보는 것도 모자라

“초가 삼가..♬
집을 짓는 ♪내 고향 정든 땅♪♩“

구성진 노래까지 불러주고 있는 모습에

   이젠 할머니까지 손뼉을 치며
따라 부르고 있는 게 부러웠는지
           날아가던 새들까지
  장단을 맞추어주고 있는 걸 보는
           할아버지의 눈가는
      촉촉이 젖어오고 있었는데요

           “나만 볼 수 있는 게
                   미안하다며....”

      눈물짓고 있는 할아버지는

​            봄처럼 푸른 새싹을
              여름 햇살에 키워

​         가을을 닮은 곡식들로
   행복을 줍던 날들을 뒤로한 채
    찬 서리 진 겨울 같은 아픔을
         맞이하고  말았는데요

  고뿔이 심해 들린 읍내병원에서
    큰 병원으로 가보라는 소리에
  할머니 몰래 진찰을 받고 나오는
            할아버지의 얼굴엔
        하얀 낮달이 앉았습니다

할아버지는
자신이 암에 걸렸다는걸
할머니에게 말하지 않은 채
평소와 다를 바 없이

            산과 들로 다니며
        행복을 줍고 있었지만

​                     갈수록
​         할머니를 업기에도..
         힐체어를 밀기에도...

​힘에 부쳐가는 시간을 들키지 않으려
    안간힘을 쓰고만 있었습니다

노부부의
앞마당 빨랫줄에 매달려
놀고 있던 해님이

       달님이 불러서인지
    점점 멀어지고 있을 때

“임자...
됐어…. 됐다구“

“읍에 갔다 오더니 뭔말이래요~/?“

“그동안 고생했어.”

할머니에게
망막 기증을 해준다는 사람이
나섰다며

봄을 만난 나비처럼
온 마당을 들쑤시고 다니고 있는
할아버지의 애씀이 있어서인지

시간이 지나
할머니는 수술대에 누워 있습니다






Daum 메일앱에서 보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