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梅花피어天下가 봄☎
매화(梅花) 피어 천하(天下)에 봄이
오면 우리네 사람들은
탐매(探梅)
봄나들이를 떠나게
됩니다.
매화(梅花)의 글자는
木+人+母의 세 글자가
결합(結合)된 회의자(會意字) 로서
나무 중에서 어머니와
같은 나무라는
의미(意味)입니다.
그래서인지는
모르겠으나 아마도 나무
중에서 매화(梅花)처럼
인간(人間)에게 많은 이로움을
주고 또 인간(人間)으로
부터 사람을 듬뿍 받는
나무도
흔하지 않을 것입니다.
매화(梅花)는 새해가
되면 나무로서는 가장
먼저 꽃망울을 터트려
봄 소식(消息)을 전해 주고 눈
속에서 꽃을 피워도 마치
온화한 날씨인 양
그윽하고 은은(隱隱)한
향기(香氣)를 발산(發散)합니다.
차거운 밤 얼음이 얼어도
꽃 모양(模樣)은 싱싱하고
색상(色相)은 선명(宣明)합니다
매화(梅花)는 속기가 없이
고상(高尙)하고 추울 때 일수록
더욱 아름다우며
격조(格調)높기가 남
다릅니다.찬바람
눈보라에 시달리면서도
한번 먹은 곧은 마음을
고치지 않기
때문에 불의와 타협(妥協)하지
않은
선비 정신(精神)을 품은
꽃이라 하여 매화(梅花)를
4군자(君子) 중의
으뜸으로 여기며
창(窓)가에 심어 놓고
바라보며 마치 벗을
대하듯 좋아하고 시문(詩文)을
지어 찬양(讚揚)하고
그림으로 아름답게
그려내며 지조(志操)와 절개(節槪)의
상징(象徵)으로
여겨 나왔습니다.
매화(梅花)에는 세가지 덕(德)이
있는데 엄동설한(嚴冬雪寒)을 이겨
낸 인고(忍苦)의 덕이
제1덕이요
이른 봄 가장 먼저
꽃망울을 터트려
봄 소식(消息)을 알려 주는 덕이
제2덕이요
우리 몸에 이로운 열매를
맺어 인류(人類) 건강(健康)에
기여(寄與)함이 제3덕이라고
합니다.
이와 같은 매화(梅花)에
대하여 선인(先人)들의 매화(梅花)
사랑은 유별나고
지극(至極)하여
생육신(生六臣) 김시습(金時習)은 그의
호를 매화(梅花)당
이라 하였고
부안 출신(出身) 여류무인이자
기생인 이계생은 그의
호를 매창(梅窓)이라고
하는 등
많은 사람들이 매의
글자까지도 소중(所重)하게
여기며 즐겨 사용하였고
조선(朝鮮) 최고(최고)의 성리학(性理學)자
퇴계(退溪) 이황(李滉)은 정인
두향으로부터
선물(膳物) 받았던 분매(盆梅)
를 곁에 두고
바라 보는 것을 낙으로
삼았으며 술을 마실
때에는 매화(梅花)에게도
“어이 자네도 한잔
하시게” 하며 술을 따라
권하며 마치 두향
을 대하듯 지내다
그의 생을 마감하는 날
“저 매형(梅兄)에게 물
주거라” 라는 마지막
말을 남기고 임종(臨終)
하였고 일평생(一平生) 118수의
매화(梅花)시를
남겼습니다.
현재(現在)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지폐(紙幣)
중에서 천원권과
오만원권에 매화(梅花)가
그려져 있어
우리는 늘 매화(梅花)가 그려져
있는 돈을 지닌채
생활(生活)해야만 합니다.
때문에 우리와 매화(梅花)는
분리(分離)될 수 없는
불가분(不可分)의 관계(關係)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입니다.
====받은글 전함====
'좋 은 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박(大舶) 이야기🧅 (0) | 2025.03.29 |
---|---|
살아 숨 쉬는 오늘이 축복입니다 (0) | 2025.03.29 |
🌿 좋은 글 다섯가지 (0) | 2025.03.29 |
아들의 일기장 (0) | 2025.03.29 |
아침 명상 (0) | 2025.03.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