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요자료

♧막걸리는 오덕(五德), 삼반(三反)의 생명수(生命水)♧

이종육[소 운(素 雲)] 2023. 10. 28. 15:47

♧막걸리는 오덕(五德), 삼반(三反)의 생명수(生命水)♧

1. 오덕(五德)이란?

01. 취하되 인사불성일 만큼 취하지 않음이 일덕(一德)이요,

02. 새참에 마시면 요기되는 것이 이덕(二德)이며,

03. 힘 빠졌을 때 기운 돋우는 것이 삼덕(三德)이다.

04. 안 되던 일도 마시고 넌지시 웃으면 되는 것이 사덕(四德)이며,

05. 더불어 마시면 응어리 풀리는 것이 오덕(五德)이다.

* 옛날 사람들이 많이 모인 곳에서 큰잔에 막걸리를 넘치게 부어 돌려 마셔서 품었던 크고 작은 감정을 풀었으므로 향음주(鄕飮酒)이다.

2. 삼반(三反)이란?

01. 놀고먹는 사람이 막걸리를 마시면 속이 끓고 트림만 나며 숙취를 부른다 해서 근로지향(勤勞志向)의 반유한적(反有閑的)이요,

02. 서민으로 살다가 임금이 된 철종이 궁(宮) 안의 그 미주(美酒)를 마다하고 토막의 토방에서 멍석 옷입힌 오지항아리에서 빚은 막걸리만 찾아 마셨던 것처럼 서민지향의 반 귀족적(反 貴族的)이며,

03. 군관민(軍官民)이 참여하는 제사나 대사에 합심주로 막걸리를 돌려마셨으니 평등지향의 반 계급적(反 階級的)으로 막걸리는 삼반주의(三反主義)다.

정인지를 비롯 문호 서거정(徐居正), 명신 손순효(孫舜孝) 등은 만년(晩年)에 막걸리로 밥을 대신했는데 병 없이 장수했다고 한다.

노인의 젖줄이라 함은 비단 영양 보급원일 뿐 아니라 무병장수의 비밀을 암시하는 것이 되기도 한다.

1950~60년대 서울 명동 막걸리집 '은성'은 탤런트 최불암의 어머니로서 전후(戰後) 배고픈 예술인들의 사랑방이었다.

여주인은 술값은 주는 대로 받고 외상값을 따지지 않았다.

'은성' 여주인이 사발이 철철 넘치도록 권하던 막걸리. 막걸리는 마음을 여는 나눔의 술이었다.

최불암이 대학에 간다고 하자 은성 단골인 수주(樹州) 변영로가 막걸리를 따라줬다.

최불암이 벌컥벌컥 받아 마시고 잔을 보니 찌꺼기가 남아 있어 바닥에 털었다.

이때 수주(樹州)가 최불암의 뺨을 한대 쳤다. “이놈이 곡식을 버리는 놈이구먼!”

논두렁 새참 때 농부의 갈증과 허기를 함께 달래주던 농주(農酒). 막걸리는 술이 아니고 밥이나 마찬가지다. 하나님의 은총인 것이다.

작가 성석제는 어릴 적 막걸리 심부름 하며 홀짝홀짝 마시다 길가에 쓰러져 잠이 들고 말았다.

중장년치고 어린 시절 술도가에서 막걸리를 받아 오다 주전자에 입을 대고 시금털털한 막걸리 맛 한번 안 본 이가 드물 것이다.

막걸리는 고향이다. 한국인의 몸과 마음에 깊이 육화(肉化)한 생명수다.

막걸리는 다섯 가지 덕(德)이 있고 세 가지를 반대하며 민주주의 술이며 사람의 감정을 좋게 하는 해원주(解寃酒)이며, 건강을 지키는 보신주(保身酒)다. 노인의 영양(營養)을 보급하는 무병장수주(無病長壽酒)다

3. 인생은 주객(酒客)인거여!
친구여 세상은 주막(酒幕)인거여!
구천(九泉)을 돌던 영혼이 사람의 모습으로 세상에 오는 것은 주막에 온 거여!
단술 쓴술로 취하러 온 거여!

주막 올 때 저 마실 잔 들고 오는 사람 없고 갈 때도 저 마신 잔 들고 가는 사람 없어 그와 같이 '너' 또한 빈손 쥐고 주막(酒幕)으로 취하러 온 거여!

잔 안들고 왔다고 술 안파는 주막없고 잔 없어서 술 못 마실 주막도 없지만 네가 쓰는 그 잔은 네 것이 아닌 거여!
갈 때는 주막에 놓고 가야 되는 거여!

단술 먹고 웃는 소리! 쓴술 먹다 우는 소리! 시끌벅적했던 세상 그 곳은 주막이고 술 깨면 떠나가는 '너'는 나그네 인거여!

훗날 오는 손님에게 네 잔을 내어주고 때가 되면 홀연히 빈손으로 가야 하는 너는 주객(酒客)인거여!

4. 주찬(酒讚)
“주(酒)“자를 보라!
물수 변에 닭유
아닌가?
술은 닭이 물을 먹듯 조금씩 조금씩 천천히 마셔야 하느리..

원샷 하시면 몸에 해로운 것이니라!
두유불사(豆乳不辭)는 패가망신(敗家亡身) 한다고 소인배들은 말하지만, 이는 술을 모르고 하시는 말씀!

1) 한 잔 술을 마시면
     근심걱정 사라지고
2) 두 잔 술을 마시면
    득도(得道)를 한다네.
3) 석 잔 술을 마시면
    신선(神仙)이 되고
4) 넉 잔 술을 마시면
    학(鶴)이 되어 하늘을 날며
5) 다섯 잔 술을 마시면 염라대왕도 두렵지 않으니 이렇게 좋은 것이
어디 있느냐?

1) 부모님께 올리는 술은 효도주(孝道酒)요,
2) 자식에게 주는 술은 훈육주(訓育酒)이며
3) 스승과 제자가 주고받는 술은 경애주(敬愛酒)요,
4) 은혜를 입은 분과 함께 나누는 술은 보은주(報恩酒)라
5) 친구에게 권하는 술은 우정주(友情酒)이고,
6) 원수와 마시는 술은 화해주(和解酒)이며
7) 동료와 높이 드는 술은 건배주(乾杯酒)라
8) 죽은 자에게 따르는 술은 애도주(哀悼酒)요,
9) 사랑하는 사람과 부딪치는 술은 합환주(合歡酒)라

5. 망중한(忙中閑)
내 어찌 이 한잔 술을 마다하리오.

하늘이 술을 내리니 천주(天酒)요,
땅이 술을 권하니 지주(地酒)라!

내가 술을 좋아하고 술 또한 나를 졸졸 따르니 내 어찌 이 한잔 술을 마다하리오!

그러니 오늘밤 이 한잔 술은 지천명주(地天名酒)로 알고 마시니 노라!

물같이 생긴 것이 물도 아닌 것이 나를 울리고 웃게 하는 요물이구나!

한숨 베인 한 잔 술이 목 줄기로 적실 때 내 안에 요동치는 슬픔 토해내고 이슬 맺힌 두 잔 술로 심장을 뜨겁게 하니 가슴속에 작은 연못을 이루네.

석 잔 술을 가슴깊이 부어 그리움의 연못에 사랑하는 그대를 가두어 놓으리라!

내가 술을 싫다하니 술이 나를 붙잡고 술이 나를 싫다하니 내가 술을 붙잡는구나!

    - 좋은 글 중에서 -




Daum 메일앱에서 보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