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 은 글

❤️우리 민족의 가슴에 새겨진 "다섯 문장"❤️

이종육[소 운(素 雲)] 2025. 4. 8. 14:30

❤️우리 민족의 가슴에 새겨진 "다섯 문장"❤️

우리나라 사람이면 대부분
알 만한 문장 다섯 가지를 고른다면? 

하고 생각해 보았다.

애창곡 처럼 우리들의 마음에 새겨진 문장이라고 

이름 지을 것들 말이다.

우리의 마음에 새겨진 문장 다섯 중에

첫 번째는

죽는 날까지 하늘을 우러러
한 점 부끄럼이 없기를
잎새에 이는 바람에도 나는 괴로워했다.

우리나라 사람들 에게 애송시를 물어보면
1위는 윤동주의 서시가 꼽히는데

그 첫 문장 이다.

왜 이 문장이
우리의 가슴에
그토록 메아리 칠까?

겨레의 아픔과 함께 한 윤동주' 라는 시인과
詩가 지닌 고결한 마음과 

멀리보면 기독교 불교 등 종교가 지향하는 

깨끗한 마음을 통해서인 것 같다.

두 번째를 꼽으라면,

"신에게는 아직 열 두 척의 배가 있사옵니다" 이다.

한국인이라면 男女 없이 이 문장을 좋아한다.

선조는 누명을 쓰 고 백의종군 하던 

충무공 이순신에게 다시금 삼도수군 통제사를 맡기며
"지휘할 수군이 없다면 권율을 돕도록 하라"고 한다.

하지만 충무공은 열두 척이 있음을 밝히며 

"죽을 힘을 다해 맞서 싸우면 이길 수 있사옵니다.

미천한 신(臣)이 아직 죽지 않았 으니 

적들이 감히 우리를 업신여기 지 못할것이 옵니다"라고 보고 하고,
열두 척의 배를 이끌고 적선 333 척을 격파하여 

세계 해전사에 빛나는 기적을 이룬 명량대첩 이다.

나는 이 문장을 읽으면 콧등이 시큰해진다.

세 번째는
'뿌리 깊은 나무는 바람에 아니 흔들리니, 

꽃 좋고 열매 많나니 

샘이 깊은 물은 가뭄에 아니 그치니, 

내(川)가 되어 바다에 가나니' 라고 생각한다.

한글 최초의 시가집인 '용비어천가'를 통틀어 

가장 아름답고 균형이 있으며 유명한 문장이다.

이 문장의 키워드는

 '뿌리 깊은. 나무'와 '샘이 깊은 물'인데, 

각각 잡지의 제목으로도 쓰일 만큼 

뜻이 깊고 정이 가는 말이다.

이 키워드를 보면, 

우리는 아주 오래전부터 끈기 있고 은근하며 

심지가 굳은 마음을 좋아하는 것 같다.

네 번째는
'애국가'의 첫 구절.
'동해 물과 백두산이 마르고 닳도록 

하느님이 보우하사 우리나라 만세.'

이 문장을 모르는 이는 없겠지만 

이 노랫말을 지은 분을 아는 이는 없다.

그래도 그분에게 감사하는 마음이 생긴다.
프랑스와 미국의 국가를 들어보면 

피가 튀고 화염이 날아가며 

영국과 일본의 국가는 왕을 찬양한다.

하지만 애국가는 

우리의 아름다운 자연과 나

나라를 사랑하는 마음을 담았다.

얼마나 사랑하면 

동해 물이 마르고 백두산이 닳도록 영원하기를 바랄까?

내가 꼽은 다섯째 는 

'아리랑 아리랑 아라리요, 아리랑 고개를 넘어간다. 

나를 버리고 가시는 님은 십 리도 못 가서 발병 난다'이다.

우리에게 삶은 아득한 고갯길을 넘어가는 것.
님이랑(알이랑) 함께 가야지만

가능한 것이라고 이 문장은 말한다.

우리가 겪고 있는 말 

하기조차 힘든 작금의 세태에 살아가는 우리의 현실은 

참담하고 무겁기 한이 없지만 

그래도 우리가 바르고 꿋꿋하고 맑고 따뜻한 혼(魂)을 지닐 때 

이겨내지 못할 것은 없다고, 

우리와 함께하는 이 문장들은 말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 받은글 -

'좋 은 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어느 사색가의 글  (0) 2025.04.08
고중유락(苦中有樂)  (0) 2025.04.08
📔허허허 웃는 쓴웃음은 언제 멈출까?  (0) 2025.04.08
방랑시인 김삿갓 1-47 회  (0) 2025.04.08
고중유락(苦中有樂)  (0) 2025.04.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