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 은 글

💕人生 은 未完成

이종육[소 운(素 雲)] 2024. 7. 20. 16:25

💕人生 은 未完成

서로 보살펴 주고
모자라는 부분(部分)을 서로서로 채워주고

언제나 아름답게 사랑하면서
살아가는것이 인생(人生)일겁니다.

누군가가 그랬지요...
인생(人生)에서는 지식(知識) 보다
경륜(經綸)이 삶을 윤택(潤澤)하게
한다구요.

온갖 고초(苦楚)를 겪고                 
산전수전(山戰 水戰) 겪다보면
삶의 지혜(智慧)도 깨닫게되고

사랑이 뭔지
인생(人生)이 뭔지
마음에 아픔이 뭔지
그리고 그리움은 추억(追憶)이라는
것을 따로 배우지 않아도 우린
터득하며  살아갑니다.

행복(幸福)을 추구(追求)하려면
배려(配慮)와 희생
(犧牲)이 필요(必要)하고
만면(滿面)에 웃음을 지을려면
마음이 순백(純白)
해야 하고

사랑을 받을려면
내가 먼저 사랑을
배풀어야 하고
기쁨의 삶을 누릴려면
감사(感謝)할 줄 알아야 하지요.💜

👨‍✈다시봐도 가슴에 와닿는 시
https://m.cafe.daum.net/aznos/qXTM/326?👨‍✈








🕊 세상에서 가장 값지고 고마운 인연 🕊

숱한 세상(世上) 사람중에
선택받은 우리의 인연
우리의 값진 우정인가 싶습니다.

노년의 삶에 주고 받는 교감이 우리 삶의 최고의
가치, 보람 그리고 즐거움인가 싶습니다.

힘든 일이 있으면
바람결에 흘려 보내고,
사는게 답답하고 우울할 땐..

파~란 하늘 보고
웃으며 날려 보내요,

고달프고 어려움 없이
사는 삶은 이 세상(世上)
어디에도 없다지요,

노년에 한 두 군데
아프지 않고 산다는 건
아니 될 말이고요~

힘들고 힘들겠지만
그냥 그러려니 하고 웃어넘겨야 한다네요,

너도 나도 빈 손으로
왔다가 빈손으로 가는 우리네 인생(人生)
그 무엇을 탐하리오~

귀한 인연으로 카톡이라도
주고 받을 수 있으니 얼마나
다행스럽고 복(福)받은 삶인가요.
그저 감사할 따름이지요^^

더운날씨지만 나의 벗들은
어디에 있던 항상 건강하고
아무쪼록 행복(幸福)하시길
바라는 마음 입니다.

- 좋은 글 中에서

https://t1.daumcdn.net/cafeattach/10gfl/25b90449282debba7fe05a620480f56b37a40b3c_re_1720969878169






"199대 1의 승리자?"

파격적인 진급을 하고 현지에  부임한
李舜臣(이순신)은 당시
경상 좌수사 박홍,
경상 우수영 원균,
전라 우수사 이억기,
그울타리에
전라 좌수영 절도사로 왔다.

예나 지금이나 군대 조직에서  파격적인
계급장을 달고 내려온
장수를보고 순순히 인정하고 가만
있었을리는 없는 것이다.

1597년(정유년) 2월 ​원균의 모함으로 이순신은
한산통제영에서 체포된다.
한양으로 압송되어 국형장이  열리고
선조가 지켜보고  있는가운데 문무백관
/ 200명 모두가 "이순신은 역적이오니
죽여야  마땅하옵니다."외친다.

아침부터 다음날 새벽까지 읍조하며 임금(선조도 속으로는 동조 함)을 압박
하고 있으니 이순신을 발탁해주고 6계급
파격 진급에 힘을 써준 유성룡까지도
"공은 공  / 사는 사라고 하며 이순신을
죽여야 한다는 문무백관들의
의견에 반대를 하지 못한다.
당시 이순신의 누명 상황이 어떠한지
미루어 짐작이 간다.

이틀이 걸려도 이순신 형 집행을 못하고
있었던 이유는 당시 領議政(영의정) 겸
都體察使(도체찰사) 국가비상사태 직무 총사령관인 梧里 李元翼(오리 이원익)(1547~1634)이 임금의 어명으로 전시
상태의 모든 권한을 쥐고 있었기
때문이었다.

당시 전시상태에서는 임금과 문무 백관들이 이순신을 죽여야 한다 외쳐도 이원익의 승락 없이는 선조 임금도 어쩔수 없는 상황이었다.

이원익은 거듭되는 선조의 형 집행 재촉에
청사에 길이 남는 그 유명한 명 대사라고한다.

전하께서 전시에 신을 폐하지 못하시는
것처럼 신 또한 전쟁중에  삼도수군
통제사인 이순신을 해임 하지 못하옵니다.

이원익의 이 말에 선조도 체념을하고
이틀이나 걸린 이순신
"국형장"에서 문무백관 들이 지켜보는 가운데 "도체찰사가 그리 말을 하니
이순신이 죄가없는가 보구나.!"
오직 한사람의 곱고 바른 판단과 집념으로 199명의 고집을 꺽었다.
드디어 이순신은 사형을 면하게 된다.
당시 문무백관 199명 대 1 이원익 한
사람만이 반대를 하여 이순신을 살려낸 것이다.​

자신을 낮추고 오직 나라와 백성만 떠받든 공복 ​그가 있으면 온갖 사물이 제
자리를 잡게 되는 소박하고 비범한 조선의 대표적 청백리 초가집에 살았던
"조선의 명재상 오리 이원익 대감"

세월은 400년이 지나고 시대만 수없이
변했을뿐 정치는 변한게  없다.

아무리 힘들어도 마음을 알아주는
한사람만 있으면 외롭지 않은것이 
대장부의 자존심이요 명예이다.

더구나 목숨이 왔다갔다하는
전쟁통에는 더할것이다.

온갖 시기질투와 모함으로 사형 직전까지간 만고의 충신을 알아보고
199대 1로 임금의 불신으로 부터 믿어준
탁월한 先見之明 (선견지명)의 굳은 신념이 도탄에 빠진 나라와 백성들의
생명과 조선 사직을 지켜낸 ​오리 이원익
대감이야 말로 만고에 길이 빛나는
충신이며 ​나라의 보배라고 할수
있을것이다.
다수의 사람이 나라를 구하는 것이 아니라 단 한명 이원익이 나라를
구했던것이다.

한 사람.!
올바른 한 사람이 중요하다.
​생각해 본다면 이순신장군은 행복한
분이셨다.
​자신의 목숨을 두려워 하지않고 불의에 뜻을 굽히지 않았던 오리 대감과같은분이 시대에 함께 있었으니 말이다.

그는 87세로 눈을 감으시면서 
모든 자식들을 불러 놓고 !
"나를위해 부고도 알리지 마라 사후에
어떠한 사당이나 칭송된 일이나 비석도
세우지 마라"
그러기에 오리 정승은 우리에게 잊혀져 있었는지도 모른다.

세월이 400년이 지났지만 오늘의 이 시대에 이원익 대감같은 "정정 당당"했던
淸白吏(청백리)는 어디에 있는지 묻고 싶다.
역사의 한 페이지를 생각나게
할뿐이다.

지금 시대에 李元翼(이원익) 政丞(정승)
같은 正正 堂堂(정정 당당)했던 분이
계시면 좋겠습 니다.
                                                                                                                                                        당신은 어떻게 생각 하십니까?
받은 글을 공유하며 올려 봅니다..








아름다운 풍경 / 꿈을 꾸세요 
Dream It - TrackTribe  

🎼⛵ 마음공부(工夫) ⛵🎼

마음을 일으키면 발심(發心)이고
마음을 잡으면 조심(操心)이 되며
마음을 풀어놓으면 방심(放心)이다.

마음이 끌리면 관심(觀心)이고
마음을 편안(便安)하게 하면
안심 ( 安心 )이며
마음을 일체(一切) 비우면 무심(無心)이다.

처음 먹은 마음은 초심(初心)이고
늘 지니고 있는 떳떳한 마음이
항심(恒心)이며
우러나오는 정성(精誠)스러운 마음은
단심(丹心)이다.

작은 일에도 챙기면 세심(細心)이고
사사(私私) 로움이 없으면 공심(公心)이며
꾸밈이나 거짓이 없는 참마음이
본심(本心)이다.

욕망(慾望)의 탐심(貪心)과
흑심(黑心)을 멀리하고
어지러운 난심(亂心)과
어리석은 치심(癡心)을
버리고

애태우는 고심(苦心)을 내려놓으면
하심(下心)이다.

아~, 내 안에 파도(波濤 ) 물결 같은
많은 마음(심:心)이 있구나.

마음(심:心) 공부(工夫)

몸(신:身)만 안으면 포옹(抱擁)이지만
마음(심:心)까지 안으면 포용(包容)입니다.

운명(運命)이란 말은 쓰지 마세요.
쓰는 순간(瞬間) 당신(當身)
삶의 주인(主人)은 운명(運命)이 됩니다.

행복(幸福)은 찾아오는 것이 아니라 찾아가는 것이다
행복(幸福)은 스스로 움직이지 않기에….

참사랑은 확인(確認)하는 것이 아니라
서로가 믿음으로
확신(確信)하는 것이다.

인연(因緣)의 교차로(交叉路)엔 신호등(信號燈)이 없다.
스치던, 멈추던 선택(選擇)은
각자(各者)의 몫이다.

중국(中國) 전국시대(戰國時代) '묵자(墨子)'는
‘고찰(考察)’, ‘근거(根據)’ ‘실천(實踐)’ 등(等)을 말할 때
세 가지 법칙(




Daum 메일앱에서 보냈습니다.

'좋 은 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용한 물이 깊은 것  (0) 2024.07.21
■ 명문장(名文章) 3개는 알고 살자.  (0) 2024.07.21
♤..삶의 德目과 人格..♤  (0) 2024.07.20
흔들리며 피어나는 인생  (0) 2024.07.20
특별한 선물 이야기  (0) 2024.07.20